세이노의 가르침
피보다 진하게 살아라.
세이노는 누구인가?
필명 세이노는 현재까지 믿고 있는 것들에 대해 NO라고 말하라는 뜻이다.
2023년 기준 순자산 천억원대 자산가이다.
1955년생이며 의사의 장남으로 태어나 서너살 유년기 때부터 아버지의 가르침을 받았다.
아버지가 전 재산을 사기로 모두 날린 후 사망하면서 친부모를 모두 여의고 고교시절부터 생활고에 크게 시달렸다고 한다
고교 3학년 때 건강과 가난 때문에 휴학하고 친구 아버님과 친구들의 투자를 받아 사업을 했으나 실패 후 복학하여 고교를 4년 만에 졸업하고 입대했다.
공군 사병으로 복무하는 동안 군부대 부동산 관리 업무와 도서관 관장을 맡았고, 제대 후 영어 공부에 몰두하여 미8군 내 메릴랜드 대학 분교에 입학하였다. 학비를 벌고자 보따리 장사부터 시작하여 과외, 입시영어학원, 번역업 등을 했다.
결혼 후에는 거의 10여년 이상 쉬는 날 없이 밤늦도록 일과 공부에 몰두하면서 의류업, 정보처리, 컴퓨터, 음향기기, 유통업, 무역업 등으로 자산을 모으기 시작했다.
그 자산은 외환 투자, 부동산 경매, 주식 등으로 증대시켰고 학연, 혈연, 지연, 정치적 배경 없이 홀로 현재의 자산을 이룩했다.
세계적인 다국적 기업의 아시아 지역 부사장직도 겸임하였고 사업상 70여 개국을 여행했다. 국내에서 경영하였던 회사들은 수출탑과 산업훈장을 받았으며, 인재경영 대상 후보로 오르기도 했다.
2003년부터는 사업을 줄여 왔고 광범위한 독서, 음악, 영화감상을 즐긴다. 가장 좋아하는 것은 문제를 해결하는 것, 사람을 가르치고 깨우치는 것이며, 가장 싫어하는 것은 접대 술자리, 기업 정치가들, 부자인 척하는 자들의 블러핑. 매년 십업원대의 소득세를 2000년까지 5년이상 세이노 개인이 납부하였고 2001년부터는 가족 단위로 납부하고 있다.
서문
나의 글들이 책으로 출간되는 것과 관련하여
1. 언론 및 카페에 기고하게 된 과정
2000년 초 동아일보에 칼럼을 기고하게 된 과정은 이러했다. 외환위기를 겪은 지 얼마 안 되었던 그 당시 나는 거래 증권사에서 별도의 방을 제공하겠다고 하였을 만큼 당시로서는 적지 않은 자금을 굴리고 있었다. 여러 신문사 경제부 기자들을 한 번씩 만나면서 대화를 하기도 했는데 그중 동아일보 이진 기자는 내가 생각하는 방식이 좀 특이하다면서 투자자들을 위한 좋은 기삿거리들을 달라고 하기에 메모 형태로 몇 개 주었다. 알아서 살을 붙이라고 말이다. 그랬더니 자기가 살을 붙이기가 어려우므로 1주일에 한번씩 딱 6회분만 연재하자고 계속 졸라 대기에 직원교육용으로 썼던 자료들 중 6개를 보내 주면서 필명은 '세이노'라 하고 사진을 싣는 것은 싫다고 했더니 캐리커처로 대신하겠다고 하면서 사진 기자를 데리고 왔던 기억도 난다. 연재가 4~5회 되었을 때 편집국에서 연재를 계속해 달라는 부탁이 왔다. 나중에는 연재 횟수가 1주일에 2회로 늘어났고 월간지나 경제주간지에 글을 싣는 기회도 생겼으나 신문사 편집국에서 자꾸 내 글을 독자들 입맛에 맞게 순화시키려는 것이 마음에 드지 않아서 그만 쓰기로 했는데....'세이노의 가르침'이라는 카페가 생겨났고 그 카페 회원들이 마음에 걸려 2003년부터 글을 올려 주었는데 당시 내 생각은 아래와 같았다.
- 금년 초부터 이 카페에 글을 올리기 시작한 이유는 단순하다. 내가 하는 말에 귀를 기울이려는 사람들에 대하여 모르는 척하기가 좀 미안하였기 때문이다. 내가 이곳에 올리는 글들의 상당수는 예전에 신문이나 잡지 등에 실렸던 글들의 오리지널 원고를 약간 손을 본 뒤 올리는 것이지만 일부는 내가 근 20여년을 써 놓았던 조각 원고들을 시간 나는 대로 정리한 것이다.
-나는 천재가 아니어서 즉흥적으로는 글을 쓰지 못하기 때문에 내가 이곳에 올린 글들은 '세이노가 하룻밤에 쓴 글'이라고 생각하면 안된다. 모든 글에는 내가 살아온 세월이 담겨 있음을 잊지 말아라.
-한편, 독자들이 어떤 특정 주제에 대하여 질문을 많이 하지만 그 주제에 대하여 내가 과거에 써 놓았던 원고가 없을 때, 새로 써야 하는데 시간이 없어 미루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런 경우 앞으로 짧게나마 나의 생각을 올리려고 하는데 이때 말머리에 식별 가능한 별도의 표시를 붙일 것이며, 이는 많은 독자들이 궁금하게 생각하고 있는 내용에 대한 답변이 될 것이다.
하지만 얼마 후 카페 내부에서 내 글들을 디딤돌로 해 자신의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려는 자들이 나타남을 보고 홧김에 올린 글들을 모두 삭제하고 카페 운영을 중지하라고까지 하였다가, 사과와 해명을 받은 후 '이 카페가 첫째, 회원들이 외롭고 힘들고 지칠 때 서로 의지하며 복돋워 주는 곳 둘째, 그 누구도 경제적 이들을 꾀하지 않는 곳, 세째, 책과 좋은 글들에 대한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는 곳이 되기만을 바란다.' 고 명시하고 다시 글을 올려 주었다. 그리고 '신문이나 잡지 같은 언론 매체와 이 사이트에 기고된 나의 글은 그 글이 실린 곳의 이름과 날짜, 나의 이메일 주소 sayno@korea.com을 명시하는 한, 인터넷에서 누구나 무료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나, 회비를 받건 안받건 간에 비회원도 읽을 수 있는 게시판에 수록해야 한다.'고 명시하였다. 세이노 카페에서도 적어도 내가 올린 글만큼은 비회원도 읽을 수 있게 하라고 하였다.
2. 2023년에 책이 나오게 된 과정
세상에 전하는 글을 쓸 때 나는 그 어떤 이득도 추구할 의사가 없었으며 인세나 강의료를 챙기려는 것도 전혀 아니었다. 이는 지금도 그러하다. 내가 왜 아무 대가도 바라지 않고 무상으로 글을 써서 세상에 알려 주는지는 카페 운영자와의 첫 만남에서 애기한 바 있다.
세이노의 가르침 중에서 sayno@korea.com
지은이 세이노
펴낸곳 데이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산주의를 정립한 카를 마르크스-3 (0) | 2023.04.16 |
---|---|
공산주의를 정립한 카를 마르크스-2 (0) | 2023.04.16 |
공산주의를 정립한 카를 마르크스-1 (0) | 2023.04.16 |
영국 고전파의 애덤 스미스와 양대산맥 데이비드 리카도 (0) | 2023.04.16 |
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 국부론의 저자 (0) | 2023.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