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기준금리 인상 예고에...딜레마 빠진 한국은행
2023.07.21 - [부동산] - 홍콩 건물 투자 손실로 드러난 증권사 ‘부동산 뇌관’…투자자 피해 우려
홍콩 건물 투자 손실로 드러난 증권사 ‘부동산 뇌관’…투자자 피해 우려
2023.07.13 - [부동산] - GS건설만 그랬을까?...건설업계 불신 이어져 GS건설만 그랬을까?...건설업계 불신 이어져 2023.07.11 - [부동산] - 압구정동 최고 50층 1만1800세대 개발 '역대 최고가' 조감도 파일첨
claeat.tistory.com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이번 주 FOMC에서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유력한 가운데 한국은행의 고심이 더욱 깊어지고 있습니다.
벌어질 한미 기준금리 차는 부담이지만, 가계 부채 탓에 선뜻 기준금리를 올리기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현지시각으로 오는 25∼26일 열리는 FOMC 회의에서 기준 금리 인상 카드를 꺼낼 것으로 보입니다.
앞서 제롬 파월 의장은 올해 두 차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제롬 파월 /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지난달) : 인플레이션이 이렇게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것이 전반적으로 놀랍습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긴축 정책이 효과가 있을 만큼 충분히 오랫동안 이어지지는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이 때문에 시장도 연준의 금리 인상을 기정사실처럼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문제는 미국이 기준금리를 0.25%p 올린다면 한미 기준금리 격차가 2%p로 더 크게 벌어지게 된다는 겁니다.
이렇게 되면 외국인 투자 자금 이탈이나 원화 가치 하락으로 환율 변동성이 커져 우리 경제에 부담될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그동안 격차가 벌어진 만큼 시장에 큰 충격은 없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주원 /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YTN 뉴스와이드) : 미국 금리가 우리보다 높았던 3번의 사례를 보면 자금이 빠져나가지 않았어요. 강경파의 논리처럼 한 번 더 추가적으로 올린다 한들, 금리 격차가 벌어져도 자본 유출로 인한 환율 시장의 불안이 가능성은 크진 않을거다.]
한국은행이 쉽사리 기준금리를 올리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보다 천 조가 넘는 가계 부채 때문입니다.
고금리 속에서도 가계대출은 지난 4월부터 다시 늘더니
이번 달 들어 시중은행에서만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3천억 원 넘게 불어났습니다.
[이창용 / 한국은행 총재(지난 13일) : 여러 금통위원이 가계부채 증가세에 대해 많은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예상 밖으로 크게 늘면 금리뿐만 아니라 거시 건전성 규제를 다시 강화한다든지.]
수출 부진에 금융 불안까지, 국내 금융 시장 불안정 요소가 여전한 만큼 한국은행의 고심은 더욱 깊어질 전망입니다.
2023.07.22 - [경제] - '세계1위' 가계부채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한국(세계부채 모니터보고서)
'세계1위' 가계부채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한국(세계부채 모니터보고서)
2023.07.21 - [부동산] - 홍콩 건물 투자 손실로 드러난 증권사 ‘부동산 뇌관’…투자자 피해 우려 홍콩 건물 투자 손실로 드러난 증권사 ‘부동산 뇌관’…투자자 피해 우려 2023.07.13 - [부동산] - GS
claeat.tistory.com
요약
1.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 높음.
2. 한국은행의 고심: 한미 기준금리 차 증가 부담, 가계부채로 인한 기준금리 인상 어려움.
3. 미국 금리 인상으로 외국인 자금 이탈과 원화 하락 우려.
4. 시장은 연준 금리 인상을 예상하고 있음.
5. 가계부채 증가로 기준금리 인상 어려움, 금융시장 불안정 요인 존재.
출처 : 美 기준금리 인상 예고에...딜레마 빠진 한국은행 / YTN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권, 천도허브 역할 위해 올해 2조 7,380억원 투입(2023년7월24일) (0) | 2023.07.24 |
---|---|
새마을금고 부실우려로 5대 은행권에 몰리는 자 (0) | 2023.07.24 |
'세계1위' 가계부채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한국(세계부채 모니터보고서) (0) | 2023.07.22 |
2023년도 재산세 납부 카드 혜택/절세 노하우·할인 꿀팁! (0) | 2023.07.13 |
급여 외 소득 2000만 원 초과분에 건보료 과세(근로소득, 사업소득) 보험료 조정에 필요한 서류와 신청방법 (0) | 2023.07.11 |
댓글